왓츠업 뉴스레터는 격주로 발송되는데, 일주일 만에 찾아와 놀라셨나요? 구독자 여러분에게 <KDI 경제전망|수정> 소식을 신속하게 전하고자 PLUS+호를 준비했어요😎 지난 11월, 2024년 경제전망이 발표되었는데요. KDI는 발표 이후 빠르게 변화하는 대·내외적 환경을 반영해 '업데이트'된 수정 경제전망을 제공해요. 지난 전망과 비교해 어떤 예측이 변화했을까요? 📈 오늘도 경제지식인 구독자님께 유익한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
👩💻 오늘의 What's Up 요약
◾2024년 경제성장률은 기존 전망과 동일한 2.2%로 전망
◾'왓츠업 메신저' 이벤트 오늘 마감! 서두르세요
업데이트 된 2024년 경제전망
by. 에디터 Y
2024년 경제전망, 주요 업데이트
✔️ 2024년 경제성장률, 기존 전망과 동일한 2.2% 전망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내수 증가세 둔화를 반영해 2.5%로 수정
✔️ 취업자 수 증가폭은 기존과 유사한 22만명 예상
올해 우리나라 경기는? 완만한 회복세 📈
소비와 투자의 증가세가 둔화되는 반면, 수출 증가세는 확대되면서2024년 경제성장률(국내총생산)은기존 전망과 동일한 2.2%로 전망됩니다.
◾민간소비: 상품소비를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된 점을 반영하여 기존 전망(1.8%)보다 소폭 낮은 1.7% 증가할 것으로 예상
◾설비투자: 기존 전망(2.4%)과 유사한 2.3% 증가할 것으로 예상
◾건설투자: 부동산경기 하락을 반영하여 기존 전망(-1.0%)보다 감소폭이 확대되어 -1.4%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총수출: 반도체경기 반등과 세계 경제성장률 상향 조정을 반영하여 기존 전망(3.8%) 보다 높은 4.7% 증가할 것으로 전망
◾경상수지: 내수 증가세는 둔화되는 반면 수출 회복세는 확대됨에 따라 기존 전망 (430억달러 내외)을 상회하는 560억달러 내외의 흑자로 전망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내수 증가세 둔화를 반영하여 기존 전망(2.6%)보다 소폭 낮은 2.5%로 전망했으며, 내수 증가세의 둔화에도 불구하고 30대 여성과 고령층의 노동공급 확대를 반영하여 취업자 수 증가폭은 기존 전망(21만명)과 유사한 22만명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