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발표된 따끈따끈한 ‘KDI 경제전망 수정’ 내용을 신속히 다뤄봅니다. KDI가 바라보는 현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과 지난 5월에 발표한 전망치 대비 변화를 소개합니다. *KDI는 매년 5월(상반기), 11월(하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하고, 2월, 8월에 변화하는 경제 상황을 반영해 수정 전망을 제공합니다.
2024년 경제성장률은 기존 전망 대비 소폭 하락(2.6% -> 2.5%)하였습니다.
▶ 수출 증가율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기존 전망을 상회하겠으나, 민간소비와 설비투자를 중심으로 내수 증가세가 하락함에 따라 기존 전망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또한, 내수 전망이 하향 조정됨에 따라 물가상승률과 취업자 수 증가폭도 하향 조정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민간소비: 고금리 기조 장기화를 반영하여 기존 전망(1.8%)보다 낮은 1.5% 증가 예상
◾설비투자: 반도체경기 호조세가 투자로 이어지지 못함에 따라 기존 전망(2.2%)보다 크게 낮은 0.4% 증가 예상
◾건설투자: 부동산PF 부실의 파급이 제한적인 수준에 그치며 기존 전망(-1.4%) 대비 감소폭이 축소되어 -0.4% 기록 예상
◾총수출: 반도체경기가 기존 예상을 크게 상회함에 따라 기존 전망(5.6%) 보다 높은 7.0% 증가 전망
◾경상수지: 수출 전망치는 상향 조정된 반면, 내수는 하향 조정되면서 경상수지는 기존 전망(703억 달러) 보다 흑자폭이 확대된 770억 달러 기록 전망
◾2025년 경제성장률: 기존 전망(2.1%)과 유사한 수준 예상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내수 부진과 국제유가 하향 조정을 반영하여 기존 전망(2.6%)보다 낮은 2.4%로 전망했으며, 내수 부진을 반영해 취업자 수 증가폭을 기존 24만명에서 20만명으로 하향 예상했습니다.
“안락한 사무실에서 데이터로 본 장애인들의 세상은 나에게 상상의 나라와 같았다.” “보고서에는 복잡한 통계 기법을 바탕으로 그럴듯한 정책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탁상공론 같은 말들을 하는 것은 아닌지...” (매거진 KDIans 내용 중)
최근 김도헌 KDI 박사는 장애인 고용과 경력 개발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다루기 위해, 지역의 장애인 보호 작업장을 찾았습니다. 연구자로서 현장을 직접 경험하고 관계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었다고 하는데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동행하는 사회'를 꿈꾸는 김도헌 박사의 이야기를 함께 만나보세요.
반도체를 중심으로 제조업 생산과 수출이 회복세를 유지했으나, 미약한 내수가 경기 개선을 제약하는 모습입니다. 소비는 상품소비가 부진한 가운데, 서비스 소비도 점차 둔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세계경제는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완만한 성장 흐름이 유지될 전망이나, 무역 갈등 고조 등 경기 하방 위험도 상존합니다.
2024년 북한경제는 근본적인 변화의 기로에 서 있으며, 비핵화와 개혁개방 시 급속한 경제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여전히 문을 굳게 닫고 있어, 장기적인 침체와 고통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북한의 현 경제 상황과 미래 발전 가능성을 다각적으로 분석한 내용 을 지금 바로 살펴보세요.